티스토리 뷰
728x90
오늘은 우리나라와 인접한 일본의 대표적인 동물에 대하여 알아보려고 합니다. 대표되는 동물의 종류와 문화, 종교, 신화 및 역사적으로 의미도 알아 보려고 합니다.
1. 일본의 대표동물 종류
1) 키츠네(여우)
2) 잉어
3) 타누키(너구리)
4) 사슴
5) 마네키 네코(고양이)
2. 특징(상징적, 동물적)
1) 키츠네(여우)
- 일본 신화와 동화에서 등장하는 상상 속의 동물로 다양한 특징을 가지며, 주로 여우의 모습을 하고 있음
- 일본 전역의 신사에서 수호신으로, 신성한 신사 경내를 보호하는 여우상을 종종 볼 수 있음
- 특히 후시미 이나리 신사는 여우를 이나리의 사자로 숭배하고 았음
- 일본 문화에서 지혜와 기민함의 상징으로 여겨지며, 종종 인간의 모습으로 변신할 수 있다고 전해짐
- 키츠네 여우는 불을 조종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고 믿으며, 사람을 속이거나 도와주는 이야기가 전해지기도 함
2) 잉어
- 일본이 원산지인 민물고기의 일종으로, 크기와 색상이 다양하여 집이나 정원의 연못에서 관상어로 기르고 있음
- 일본에서 잉어는 장수와 행운의 상징으로 여겨져 왔으며, 권략, 성공, 번영을 상징하는 중국용의 화신으로 여겨짐
- 일본 전통의복, 그림, 결혼식 및 기타 상서로운 행사와 같은 특별한 경우에 제공되는 선물포장의 디자인에 자주 사용됨
- 길죽하고 날카로운 형태를 가지며, 몸은 횡사로 압축되어 있어서, 물 속에서 빠르고 우아하게 수영이 가능함
- 주로 차가운 물을 선호하며, 물 온도와 품질에 민감하게 반응함
- 먹이는 물벌레, 갑각류, 작은 물고기 증을 먹는 육식성 물고기로 일부 종류는 식물성 먹이를 섭취하기도 함
- 번식 시기에는 알을 낳고 산란하기 위해 강 상류로 이동하는 특이한 행동을 보임
3) 타누키(너구리)
- 일본 너구리 라고도 알려져 있으며, 일본 전역 숲과 산악 지역에 서식함
- 일본 민속, 전통 동요, 영화의 상징적 캐릭터로 사용되기도 함
- 레스토랑과 상점에는 입구에 도자기로 된 상징적인 너구리 조각상이 있으며, 이는 더 많은 고객과 사업에 행운을 가져다준다고 믿고 있음
- 몸 크기는 다른 너구리에 비해 작은편이며, 일반적으로 40~55cm 정도아고, 몸무게는 12kg 정도임
- 둥근 모양의 큰 눈과 날씬한 몸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, 털은 주로 갈색과 회색으로 된 균일한 무늬를 가지고 있음
- 주로 물가 근처에 서식하며, 물 속에서 먹이를 찾아 수영하는 능력이 뛰어남. 또한, 물 위에서도 물방울을 이용하여 먹이를 씻거나 손발을 닦는 등 다양한 행동을 함
- 매우 기민하고 재간이 있으며, 손재주가 뛰어남. 앞발을 사용하여 먹이를 잡거나 물건을 다루는 등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음
4) 사슴
- 히로시마의 미야지마와 나라의 나라공원과 같은 유명한 관광지 중 일부는 수많은 야생 사슴의 서식지로 방문객이 자주 찾음
- 고대부터 사슴은 일본에서 신들의 신성한 메신저로 여겨져 왔으며, 일본 신화와 전통 만속에서 쉽게 볼 수 있음
- 사슴은 일반적으로 수줍음이 많고 예민하며, 인간과의 직접적인 상호 작용을 피하는 경행이 있음
- 일본 사슴 중 가장 유명한 것은 시칠리아 사슴이며, 일반적으로 "니호사이카"라고 부름
- 몸크기는 중간크기로 몸길이는 약 1.5m, 몸무게는 100kg 이상에 달함. 또한, 가지 형태로 갈라진 큰 뿔을 가지고 있음
- 숲이나 산악 지역에서 서식하며, 주로 초목과 식물을 막는 초식성 동물임
- 사슴은 번식시기에 수컷간의 순위를 정하거나 암컷의 주목을 끌기위해 수컷간에 뿔싸움을 벌이기도 함
5) 마네키 네코(고양이)
- 일본에서는 고양이를 숭배의 대상으로 여기며 존걍하는 표현을 함
- 일본 신사와 사원에서 고양이를 신으로 모시기도 함
- 레스토랑. 상점 및 료칸 입구에서 도자기 모양의 고양이 조각상을 볼 수있으며, 이를 "마네키 네코" 라고 함
- 마네키 네코는 행운의 상징으로 여겨져 이를 진열하면, 더 많은 고객과 사업의 행운을 가져다 준다고 믿고 있음
- 마네키 네코는 오른손으로 팔을 흔들며, 손바닥을 위로 향하고 있음
- 흰색 바탕에 붉은색 고양이 모양의 옷을 입고 있으며, 금색 또는 검은색의 목걸이와 팔찌를 착용하는 모습을 흔 히 볼 수 있음
- 다양한 크기로 사람들마다 용도와 공간의 적합성에 맞게 선택되어, 일본 문화 속에서 널리 사랑 받고 있음
반응형